돈이보인다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최대 36개월 월 30만 원 지급!

비니남매맘 2025. 5. 16. 21:30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 지원 금액: 월 최대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까지 주거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 방식: 실제 납부한 전세대출 이자나 월세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선지출 후정산 방식으로 6개월 단위로 4번에 걸쳐 분할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매달 20만 원의 전세대출 이자를 납부하는 가구는 해당 금액만큼 지원받게 됩니다.

서울 무주택 출산가구

 

서울시,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사업! 최대 720만 원 혜택 받는 방법 A to Z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비를 지원하는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아이를 낳은 가구가 높은 집값 걱정 없이 서울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지난해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전출한 인구 약 33만 명 중 63%가량이 가족과 주택 문제 때문에 이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서울시는 이번 정책이 출산 이후 주거비 부담이나 이사 걱정 없이 자녀를 안정적으로 키울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 중 하나입니다.

블로그 바로가기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지원 금액: 월 최대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까지 주거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방식: 실제 납부한 전세대출 이자나 월세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선지출 후정산 방식으로 6개월 단위로 4번에 걸쳐 분할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매달 20만 원의 전세대출 이자를 납부하는 가구는 해당 금액만큼 지원받게 됩니다.

 

지원대상은 누구인가요?

 

다음 네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지원 대상이 됩니다.

1. 무주택 가구여야 합니다.

2. 2025년 1월 1일 이후 자녀를 출산한 가구여야 합니다.

3.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여야 합니다.

4. 서울에 소재한 임차 주택에 거주하며,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여야 합니다. 

    - 반전세나 월세 가구의 경우, 전세 보증금의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하여 13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전월세 환산율은 2023년 12월 기준인 5.5%가 적용됩니다.

5. SH·LH 공공 임대주택 입주자는 제외됩니다.

 

지원 기간 연장도 되나요? 

 

네, 가능합니다. 다태아 출산이나 지원 기간 중 추가 출산이 있는 경우, 기존 2년 지원 기간에서 최장 4년까지 연장이 가능합니다. 아이를 추가로 낳으면 출생아 1명당 1년이 연장됩니다. 다태아의 경우 쌍태아는 1년, 삼태아 이상은 2년 연장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이 중단될 수도 있나요?

 

네, 지원 기간 동안 무주택 조건을 유지해야 합니다. 주택을 구입하거나 다른 시·도로 이주하는 경우에는 지원이 중단됩니다. 다만, 지원 기간 중에 청약 당첨으로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입주(잔금 납부) 전까지 무주택 조건이 유지되어 지원이 중단되지 않습니다.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신청 기간: 2025년 5월 20일 오전 9시부터 7월 31일까지입니다. (이는 올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출산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신청 기간입니다).

신청 방법: 서울시 임신·출산·육아 종합 플랫폼인 '몽땅정보만능키'(umppa.seoul.go.kr)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몽땅정보 만능키 바로가기

필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주택소유현황, 금융거래내역 등 4종의 서류와 확정일자가 날인된 임대차계약서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상자 선정 및 지급 일정은?

 

신청이 완료되면 8월부터 11월까지 자격 검증과 대상자 선정을 위한 서류 심사를 거칩니다. 최종 대상자로 선정된 후 주거비 납부 내역 등의 증명서를 제출하면, 올해 12월에 첫 6개월분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7월 1일 이후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에 대해서는 오는 12월쯤 지원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에서 확인하거나, 서울시 저출생담당관(02-2133-5025) 또는 서울시여성가족재단(1533-1465)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서울시의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은 출산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서울에서 아이를 안정적으로 키울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정책입니다. 최대 720만 원이라는 실질적 혜택, 그리고 전세대출 이자·월세 등 실제 주거비용 기준의 정산 방식은 기존의 일률적 지원 방식보다 훨씬 현실적입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시다면, 조건만 맞는다면 바로 신청 가능한 시기에 계신 겁니다. 서울시의 이번 정책은 단지 지원금을 주는 것을 넘어, 출산과 육아, 그리고 주거라는 세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아이를 낳고 서울에 머무르며 살아갈 준비가 되셨다면, 지금 바로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에 접속해 신청해보세요. 서울에서의 삶, 지금보다 훨씬 든든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728x90